Redis는 각 키의 TTL을 정확하게 추적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타이머를 사용합니다. 이 타이머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행되며, 이 시간 간격은 Redis의 설정에 따라 다릅니다. 타이머가 실행될 때마다, Redis는 모든 키의 TTL을 확인하고, 만료된 키를 찾아내어 삭제합니다.
RabbitMQ도 Redis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RabbitMQ는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로서, 메시지의 배달을 보장하고, 메시지를 큐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Redis와 마찬가지로, RabbitMQ에서도 메시지(또는 키)의 TTL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TTL은 메시지가 큐에 있을 수 있는 최대 시간을 나타내며, 이 시간이 지나면 메시지는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이 과정은 컴퓨팅 리소스를 상당히 소비합니다. 따라서, Redis는 실제로는 모든 키의 TTL을 일정 간격으로 확인하지 않습니다. 대신, Redis는 일정량의 키만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그들의 TTL을 확인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Redis는 TTL 관리의 부하를 줄이면서도, 대부분의 만료된 키를 빠르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또한, Redis는 키에 접근할 때마다 해당 키의 TTL을 확인합니다. 이는 'lazy deletion'이라고 불리는 메커니즘이며, 이를 통해 Redis는 키의 TTL이 만료되었을 때 그 키를 즉시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 메커니즘은 Redis가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를 즉시 제거하는 데 중요합니다.
Redis에서 TTL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키는 만료되지 않습니다. 즉,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삭제하거나, Redis 인스턴스가 재시작되는 경우에만 해당 키가 삭제됩니다.
이처럼, Redis의 TTL 관리는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프로세스입니다. 이 프로세스는 Redis의 전반적인 성능과 효율성에 깊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Redis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중요합니다.